가족 <1> 재판으로 본 가족의 의미 필자는 얼마 전 20대 초반의 청년을 재판한 적이 있다. 그 청년은 상습절도죄로 기소돼 재판을 받았다. 누가 보아도 앳되고 잘생긴 외모를 가지고 있었다. 측은한 생각이 들어 훈계를 몇 마디 했다. 그 나이에 벌써 상습절도죄로 처벌받게 되면 앞으로 남은 인생의 많은.. 부부,가족 2007.01.29
마음의 길 마음의 길 - 어린 왕자에게 배운다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에 등장하는 가장 심오하고 지혜로운 주인공이 아마도 여우일 것이다. 그가 어린 왕자와 헤어지며 주는 말은 이러하다. "잘 가거라. 내 비밀을 일러줄게. 아주 간단한 거야. 잘 보려면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 인생 2007.01.28
동일자(le meme)/타자(I'autre) 동일자(le meme)/타자(I'autre) 사전은 수많은 정의(定義)들로 이루어진 책이다. 국어사전은 우리말에서 사용하는 낱말들의 정의를 수록하고 있으며, 백과사전은 학문과 시사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의 정의를 수록하고 있다. 그런 만큼 사전에서 나오는 정의는 매우 엄정하고 최대한 객관적인 의미를 담고 .. 철학 2007.01.26
성생활은 무예와 같다 성생활은 무예와 같다 남녀간의 성생활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연구하는 ‘방내학’(房內學)은 고대 중국에서 자신을 닦는 수련·수양의 문화 가운데 하나로 분류돼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온다. 서양에서는 성의학, 성과학, 성학 등으로 불린다. 동양의 방중학은 ‘방중술’(房中術)이라고도 하는데,.. 사랑이란? 2007.01.26
페르소나(Persona) 페르소나(Persona) 누구나 자기에 관해서는 자기가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자신의 신체, 성격, 취향, 버릇은 자기 자신이 누구보다 더 잘 알 것이다. 하지만 그런 생각을 지나치게 고집하면 다른 사람이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을 부정하기 쉽다. 세상을 혼자 살아간다고 착각하는 독불장군이 아.. 교양· 상식. 심리 2007.01.25
동굴의 우화 동굴의 우화 “여기에 지하 동굴이 있다. 동굴 속에는 죄수가 갇혀 있다.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두 팔과 다리가 묶인 채로 동굴 벽만 보고 산다. 목도 결박당하여 머리를 좌우로도 뒤로도 돌릴 수 가 없다. 죄수의 등 뒤 위쪽에 횃불이 타오르고 있다. 죄수는 횃불에 비추인 자신의 그림자만을 .. 철학 2007.01.21
물신성(Fetishism) 물신성(Fetishism) 인간의 존엄성이 당연시되는 현대 사회이지만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영역으로 들어가면 항상 인간으로서의 품위가 유지되지는 않는다. 정부조직의 하나인 교육인적자원부라는 부서의 명칭은 인간을 자원으로 분류한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또 군대나 학교에서는 인간이 정해진 병력이.. 철학 2007.01.19
유부남(2) 유부남들이여 바람피운 대가를 지불하라! 요즘 유부남들, 처녀 잘 안사귄다고 하더군요. 헤어지기 힘들까봐 무섭고 이혼하라고 괴롭힐까봐 두렵고, 책임지라고 할까봐 걱정되니까요. 돈 많이 들고 말도 안통하고 신경 많이 써야 하기에 안만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벤트 해줘야하고 기념일같은거 챙.. 사랑이란? 2007.01.19
희망이라는 작은 씨앗 희망이라는 작은 씨앗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에 수많은 아쉬움을 남기게 됩니다. 사랑이 그렇고 우정이 그렇고 인생이 그렇지요. 하지만 바꾸어 생각하면 그 아쉬움이 우리들의 삶에 힘이 되어준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느 상점에 불이 나 모든.. 인생 2007.01.16
새로움 가득하나 꿈과 희망 가득하나 새로움 가득하나 꿈과 희망 가득하나 나는 요즘도 시간이 나면 도서관을 찾는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어의 매력 때문일까? 30여 년 전 관광종사원이 되기 위해 일 년 공부한 것이 일본어에 대한 전부이지만, 몇 일본인과의 뜻깊은 교류를 통해 지금도 일본인만 만나면 말을 걸고 싶은 것이 나의 심정이다. 특히나 요즘 국제우편담당을 하다 보니 우체국을 찾는 일본 유학생들과의 친한 대화가 이어지기도 하고 현재는 일본어능력시험 2급을 지금 준비하고 있다. 우체국 업무로 3-4년 전부터 알고 지내는 일본 유학생이 있다. 그의 결혼식 초대를 받고 식장에 가보았더니 그의 배우자는 한국인 남성이었다. 그 유학생은 한국어를 유창하게 하기 때문에 구태여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었지만 왜 그.. 장기양 수필 2007.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