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 담고 싶은 글 마음에 담고 싶은 글 갓 태어난 인간은 손을 꽉 부르쥐고 있지만 죽을 때는 펴고 있습니다. 태어나는 인간은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움켜잡으려 하기 때문이고 죽을 때는 모든 것을 버리고 아무 것도 지니지 않은 채 떠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빈손으로 태어나 빈손으로 돌아가는 우리 인생! 어자피 다 .. 상처의 치유 2006.11.07
삶에 대한 생각들 삶에 대한 생각들 < 1 > 오만 / 편견 인지심리학자들은 편견을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라고 본다. 첫인상이나 외모, 성별, 출신 등을 근거로 어떤 사람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것을 편견이라 한다. 결국 편견은 사람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우리가 평생 만나야 하는 .. 인생 2006.10.20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엘렉트라 콤플렉스 < 1 > 스핑크스 신화 새로 탄생한 아들을 그대로 두면 자신의 생명뿐 아니라 왕좌에도 위험이 있으리라는 점괘를 받은 테바이의 왕 라이오스는 아들을 한 양치기에게 보내 죽여 버리라고 명령했다. 명령을 받은 양치기는 왕명을 거역할 수는 없고 가엾은 생각 때문에 아이를 죽일 수 없어 발을 묶.. 교양· 상식. 심리 2006.10.19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1. 선(禪) 사상의 발전 부처의 깨달음[佛法]을 얻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부처가 한 말과 진리를 적은 경전(經典)을 연구함으로써 불법의 진리를 밝힐 수 있다는 교종(敎宗)이고, 또 하나는 말은 필요 없이 서로의 마음이 통함으로써 깨달음을 얻는다는 선종(禪宗)이다 깨달음은 우리의 마음을 순화시키고 본성을 찾음으로써 얻어진다고 보는 것이 선종의 핵심이다. 이러한 선(禪)의 방법은 9년 면벽(벽을 바라봄)을 통해 수도를 한 인도의 달마대사가 중국에서 시작하였다. 어느 날 신광(神光)이라는 젊은이가 달마에게 찾아와 마음이 불안하여 걷잡을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달마는 “그 불안한 마음을 가져오라”고 명한다. 젊은이는 불안한 마음을 가져가려고 찾았으나 불안한 마음이 따로 .. 철학 2006.10.18
어리버리 효과 어리버리 효과 어리버리. 태생은 인터넷 신조어이나 어느덧 익숙해진 낱말이다. 본디말은 어리보기로 말이나 행동이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이런 어리버리가 뜨고 있다. 한때 쿨한 이미지가 각광을 받더니 이제 어리버리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느낌이다. 최근.. 교양· 상식. 심리 2006.10.18
사회계약론 사회 계약론 (Du contrat ou principes du droit politique)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프랑스)에 대하여 ‘인간은 나면서부터 자유로우며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이 말은 절대권력을 가진 왕권 하의 구제도를 허물고 새로운 근대 시민사회의 탄생을 이룬 프랑스 혁명(1789~1794)의 결과, 1789년 8월 26일 입법회의.. 교양· 상식. 심리 2006.10.16
성격의 발달과정 성격의 발달과정 프로이트는 성격의 기본적 틀이 생후5~6년에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성격 발달이 일정한 단계를 거쳐서 진행된다고 보고, 이를 ‘심리 성적 발달단계’라고 하였다. 심리 성적 발달단계는 사람마다 타고나는 기본적인 성적(性的) 에너지인 ‘리비도(Libido, 인간행동의 밑바탕을 이.. 교양· 상식. 심리 2006.10.16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 안톤 쉬나크(Anton Schnack) - 울고 있는 아이의 모습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정원의 한 모퉁이에서 발견된 작은 새의 시체 위에 초가을의 따사로운 햇빛이 떨어져 있을 때. 대체로 가을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게다가 가을비는 쓸쓸히 내리는데 사랑하는 이의 발길은 끊어져 거.. 아름다운 詩, 글 2006.10.14
머피의 법칙(Murpy's law) 긍정적인 질문을 던져 긍정적인 답을 찾아낸다 ‘머피의 법칙’이란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되고야만다는 것인데, 바라는 바와는 달리 일이 꼬일 때 자주 사용되는 말이다. 급할 때일수록 신호등 마다 빨간 신호등이 켜지거나 바겐세일에 가보면 꼭 사려는 물건은 세일품목에서 제외.. 교양· 상식. 심리 2006.10.10
메리토크라시 메리토크라시 그리고 양극화 영국 사회학자 마이클 영은 1958년 출간된 그의 미래소설 '메리토크라시의 반란(Rise of Meritocracy)'에서 실력이 지배하는 사회를 가리켜 '메리토크라시(실력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실력에 따라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보수가 결정되는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말이다. 실력.. 교양· 상식. 심리 200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