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무죄한 이들의 고통에 대하여

송담(松潭) 2022. 11. 27. 05:42

무죄한 이들의 고통에 대하여

 

 

욥의 마지막 말

 

주님, 내가 주님께 부르짖어도

주님께서는 내게 응답하지 않으십니다.

내가 주님께 기도해도,

주님께서는 들은 체도 않으십니다.

주님께서는 내게 너무 잔인하십니다.

힘이 세신 주님께서, 힘이 없는 나를 핍박하십니다.

나를 들어올려서 바람에 불려가게 하시며,

태풍에 휩쓸려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하십니다.

나는 잘 알고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나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계십니다.

끝내 나를 살아 있는 모든 사람들이 다 함께 만나는

그 죽음의 집으로 돌아가게 하십니다.

주님께서는 어찌하여

망할 수밖에 없는 연약한 이 몸을 치십니까?

기껏 하나님의 자비나 빌어야 하는 것밖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보잘것없는 이 몸을,

어찌하여 그렇게 세게 치십니까?

(...생략...)

 

욥기 3020~31

 

 

욥기』는 시다. 기독교의 신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도 구약성경은 고대 히브리 민중이 창작한 문학작품으로서의 가치를 갖지만, 특히 『욥기』는 구약성경 중에서 시가서로 분류되는 작품 중 하나로 대부분이 운문으로 씌어 있는, 말 그대로 시다. 『욥기』가 여전히 위대한 것은 이 작품이 던지는 질문의 그 끈질긴 깊이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잘 알려진 대로 그 질문은 '무죄한 인간의 고통'에 관한 것이다.

 

'왜 죄 없는 사람이 고통받는가? 그러므로 신은 없거나, 있어도 무능하다. 예나 지금이나 이와 같은 의문과 울분 속에서 자주 무너져내리는 것이 인간의 삶이다. 왜 죄 없는 학생들이 바닷속으로 가라앉아야 하고, 왜 갓 태어난 아이들이 살균제를 들이마시며 죽어가야 하는가. 욥이 유사한 질문을 던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3천년 전이다. 욥의 충심을 테스트해보자는 사탄의 제안에 응해 신은 욥에게 두 단계의 재앙을 내린다. 열 명의 자식이 모두 죽었어도 욥은 통곡하며 순종했다. 그러나 저주받은 육체가 발진으로 뒤덮이자 유릿조각으로 온몸을 긁으며 욥은 절규한다. 나에게 무슨 죄가 있느냐고, 왜 나에게 이런 고통을 주느냐고.

 

소식을 듣고 친구들이 찾아온다. 세 친구의 산만한 중언부언은 두 개의 명제로 요약된다. 첫째, 하느님은 죄 없는 자를 처벌하지 않는다(즉, 너에게도 죄가 있음에 틀림없다). 둘째, 비록 죄인이라도 신께 복종하면 용서받는다(그러니 불경스러운 저항을 중단하라). 예나 지금이나 가장 천박한 수준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이들은 원시적 인과론에 기대 타인의 고통을 신의 응징이라 말하는데 거리낌이 없는데 친구라는 이들의 말이 그와 별반 다를 바 없다. 이에 대해 욥은 첫번째 명제는 바로 자신의 사례로 무너졌다 선언하고, 두번째 명제와 관련해서는 죽음을 각오하고 끝까지 가보겠다고 답한다. 욥의 저항은 태만한 신앙인들과 부조리한 신 모두를 향해 있다.

 

죄 없는 인간에게 저주를 내리고 이에 저항하는 인간을 굴복시켜 결국 다시 자신을 인정하게 만드는 이 가학적인 신의 잔인한 게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슬라보예 지젝은 『죽은 신을 위하여』에서 신의 일방적인 발언을 이렇게 냉소한다. "쩌렁쩌렁 울리는 신의 말 때문에 욥의 침묵, 욥의 묵묵부답이 더욱 잘 들린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평결한다. “신은 정의롭지도 불의하지도 않다. 다만 무능할 뿐이다." 그는 『욥기』가 욥의 질문에 대답하는데 실패했다고. 그러므로 욥기로부터 욥의 위대한 질문을 분리해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그럴 생각이 없어 보이지 않는가.

 

그는 그저 신이 나타나기만을 기다렸고 그리되었으니 됐다는 듯이 행동한다. 왜일까. 나는 신학자가 아니어서 신학적 정답을 알지 못하며 다만 침묵할 때의 욥의 마음을 겨우 짐작해볼 따름이다. 욥은 자신에게 닥친 불행 때문에 고통스럽기도 하지만, 그 불행의 이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다. 인간은 자신의 불행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견디느니 차라리 어떻게든 의미를 찾으려 헤매는 길을 택하기도 한다. 내 아이가 어처구니없는 확률(우연)의 결과로 죽었다는 사실이 초래하는 숨막히는 허무를 감당하기보다는 차라리 이 모든 일에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거대한 섭리가 존재한다고 믿는 편이 살아 있는 자를 겨우 숨쉬게 할 수 있다면?

 

신은 그때 비로소 탄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력히 입증하는 증거 앞에서 오히려 신이 발명되고야 마는 역설. 가장 끔찍한 교통을 겪은 인간이 오히려 신 앞에 무릎을 꿇기를 선택하는 아이러니. 그럴 수밖에 없었던 마음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나는 이유도 모른 게 아이를 잃은 부모가 갑자기 독실한 신앙인이 된다 해도 놀라지 않을 것 같다. 무신론자에게 신을 받아들이는 일이란 곧 사유와 의지의 패배를 뜻할 뿐이지만, 고통의 무의미를 견딜 수 없어 신을 발명한 이들을 누가 감히 ‘패배한’ 사람들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인가, 그들이 신을 발명하기 전에 인간이 인간을 구원할 생각이 없다면 말이다.

 

신형철 / ‘인생의 역사’중에서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해결책과 나의 응답  (0) 2023.06.05
숫따니빠따  (0) 2022.11.04
인생이 익어가는 과정  (0) 2021.07.21
불상(佛像)과 보살상(菩薩像)  (0) 2021.07.15
부석사에서 의상으로부터  (0)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