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김수환 스테파노

송담(松潭) 2009. 2. 24. 11:04
 

 

심산 김창숙과 김수환 스테파노




 명동의 기적. 김수환 추기경을 애도하는 인파가 4일간 40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새벽 6시부터 자정 무렵까지 강추위에 떨며 4∼5시간을 기다려야 추기경의 마지막 모습을 잠깐 볼 수 있을 뿐인데,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것을 ‘명동의 기적’이라 불러도 좋을 듯싶다.


 사람들은 왜 이렇게 추기경에게 열광하는 것일까? 어린 시절, 자라면 장사를 해서 25세에 가정을 꾸리고 30세에는 어머니에게 인삼을 사드리겠다는 소박한 꿈을 지녔던 소년이 47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추기경이 되어 그동안 걸어왔던 성직자로서의 큰 걸음이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을 것이다.


솔직한 고백에 깊은 감동


 나 개인적으로는 추기경의 인간적인 풍모가 가슴에 와 닿았다. 추기경은 회고록에서 이렇게 말했다. “결혼해서 오순도순 살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해봤다. 굴뚝에서 저녁밥 짓는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시골 오두막집 풍경, 얼마나 정겨운 풍경인가.” 추기경인들 어찌 인간적인 고뇌가 없었을까. 이런 인간적인 고뇌를 솔직하게 털어놓는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분은 또 추기경 임명 소식을 전해 들었을 때의 감회를 이렇게 술회하기도 했다.


 한국교회가 세계교회에서 인정받았다는 사실이 가장 기뻤다.

…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망갈 길이 정말 막혔구나’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 일본 유학, 사제서품, 주교임명 등 신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결국에는 그 변화를 받아들이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서는 ‘도망갈 방법이 없을까’라는 궁리를 떨치지 못했다


 물론 ‘도망간다’는 것이 성직자의 길을 포기한다는 뜻은 아니었을 것이지만 이 얼마나 솔직한 고백인가. 이런 인간적인 면모 때문에도 사람들은 그에게 이끌렸을 것이다. 그동안 신문과 인터넷에 소개된 수많은 일화 이외에 비교적 덜 알려진 이야기 한 토막을 여기서 소개하고자 한다.


 몇 년 전 성균관대학교의 심산사상연구회에서 추기경에게 심산상(心山賞)을 수여하기로 결정한 일이 있었다. 이 상은 독립투사이자 성균관대학교의 설립자인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선생의 업적을 기려서 제정한 상인데, 수상자 선정 과정에서 적지 않은 내부의 진통이 있었다. 심산선생은 저명한 유학자이다. 유학자인 심산선생 이름으로 주는 상을 기독교인이 받아서 되겠느냐는 논란이 있었던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수상자를 추기경으로 결정하고 추기경의 의사를 타진한 결과 추기경은 수상을 흔쾌히 수락하셨다.


 그런데 심산상을 수상한 사람은 심산선생의 기일(忌日)에 묘소를 참배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었다. 묘소를 참배하려면 유교식으로 절을 해야 하는데 추기경에게 그걸 강요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추기경은 거리낌 없이 절을 했고 모두들 놀랐다. 후일 기독교계에서 이것이 문제가 되자 추기경은 “이 어른이 살아계셨다면 마땅히 찾아뵙고 절을 했어야 하는데 돌아가셨으니 묘소에서 절을 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라 말했다고 한다. 참으로 감동적인 말씀이 아닐 수 없다.


종교 초월 ‘국민 할아버지’


 추기경으로부터 받은 감동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성균관대학교의 심산사상연구회는 교수들의 자발적인 모임이어서 재정이 넉넉하지 못했다. 교수들의 회비와 기타 찬조금으로 운영하던 터이라 그 때 상금이 고작 700만 원이었다. 이런 사정을 간접적으로 전해 들으셨는지 추기경께서는 후일 사람을 시켜서 조그마한 상자를 보내왔는데 그 안에는 상금 700만 원에 300만 원을 더한 1천만 원의 돈이 들어 있었다.


 추기경은 이런 분이었다. 그분에게는 유교와 기독교의 장벽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사람이 사는 세상에서 사람들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베풀고 가셨기에 오늘 이 땅의 사람들이 그토록 그 분의 선종(善終)을 아쉬워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송재소 / 성균관대 교수·다산연구소 제공

(2009.2.24 광주일보)

 

 

추기경의 유머와 지혜



지난 16일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은 생전에 촌철살인의 경구와 유머를 통해 현실과 소통하는 데도 능수능란했다고 한다.


김 추기경을 곁에서 보좌했던 최성우 신부는 "과거 주교관 식당에서 추기경님께 몇 개 국어(외국어)를 하시는지 여쭈어 본 적이 있다"며 "그러자 추기경님은 2개 국어를 할 줄 아는데 `참말`과 `거짓말`이라고 말씀하셨다. 모두가 공감하고 미소를 지을 수 있는 명답이었다"고 돌아봤다.


그는 비단 종교지도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 불황과 팍팍한 삶에 내던져진 국민에게 끊임없이 희망과 위로 메시지를 전했다. 김 추기경은 먼저 `부(富)`에 대해 명쾌한 해석을 내린 바 있다. 그는 "재물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자유를 선물해주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가난하다`는 것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지배하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평소에 `말(言)`에 대해 조심할 것을 강조했다. 김 추기경은 부주의한 말 한마디가 불씨가 되고 잔인한 말 한마디가 삶을 파괴할 수 있다고 경계했다. 세 번 이상 생각한 후에 말을 하라는 것은 두고두고 곱씹을 만한 얘기다.


물론 김 추기경은 항상 사랑과 감사에 대해 강조했다. 그러나 물건 흥정과 같은 세세한 부분까지도 조언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김 추기경은 "노점상에서 물건을 살 때 (물건 값을) 깎지 마라. 부르는 대로 주고 사면 희망과 선물을 주는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또 그는 TV를 멀리하라고 말한 적이 있는 반면 `책`에 대해서는 "수입 중 1%는 책을 사는 데 투자하라"고 `책테크`를 강조한 적도 있다. 그는 한 가톨릭 신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잠`에 대해 언급한 바도 있다. 잠을 자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하면서도 "좁은 나라에서 부피가 큰 사람이 많은 것도 좋지는 않을 것 같다"며 재치 있는 카운슬링도 마다하지 않았다.


문일호 기자 / 2009.2.24 매일경제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머니즘을 욕되게 하지 마라  (0) 2016.11.09
티베트불교  (0) 2016.04.21
성철 탄생 100년  (0) 2012.03.12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사람, 원효  (0) 2008.06.15
포대화상(布袋和尙)  (0) 200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