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스컹크!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주로 겨울에 사랑에 빠지고 겨울에 이별하곤 했다. 엄살조로 말하자면, 겨울이란 내게 ‘시간의 시간성’을 고통스럽게 일깨워주는 계절이었다. 이별이라면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를, 만남이라면 시간이 영원히 정지하기를 간절히 원했다. 겨울의 시간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빨리 내 의지를 거슬러 흘러가며 마음의 기슭에 뚜렷한 손톱자국들을 새겨넣었다.
나는 겨울에 어설픈 운명론자가 되곤 했다. 폭설이 내릴 때, 나는 세계가 지워지고 있다는 절망감과 새롭게 탄생하고 있다는 기대감에 뒤섞여 창밖을 바라보곤 하였다. 나와 무관하게 변화하는 세계의 색조와 무게와 결 앞에서 깜박깜박 점멸하며 절감하던 '어찌할 수 없음', 그리고 가장 밝고 가볍고 부드러운 세계의 일부로 나타났다가 가장 어둡고 무겁고 날카로운 세계의 일부로 사라지던 그대.
나는 겨울에 집안에 틀어박혀 있거나 아니면 반대로 온종일 거리를 쏘다니며 시간을 낭비하곤 했다. 물론 시간보다 더 빨리 낭비되는 것은 누구보다 나 자신이었다. 그해 겨울, 유학생이던 나는 뉴욕에서 소진되고 있었다. 나는 그때까지 인생에서 가장 지독한 이별을 겪고 있었고 그 때문에 학위논문이라는, 그때까지 인생에서 그나마 가장 중요한 노동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나는 제 몸에서 깃털을 하나하나 뽑아내며 조금씩 물속으로 가라앉는 물오리처럼 침대에 누워 빈둥거리며, 그러나 절박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보스턴의 케임브리지에서 유학중이던 절친한 후배가 보다못해 내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었다. "형, 구질구질하게 그러지 말고 나랑 지내면서 논문에 전념하시죠." 후배의 말에 나는 군말 없이 짐을 썼다.
케임브리지에서의 생활은 단순했다. 논문 쓰기, TV 시청, 도서, 가끔 극장에 가고 외식을 했다. 유일한 소일거리는 사진이었다. 나는 정말 오랜만에 카메라를 다시 들었다. 오븐 속의 채 익지 않은 닭, 나뭇가지 사이로 얼보이는 달, 밤길에 담뱃불을 붙이느라 잠시 환해진 후배의 얼굴 등 사소하고 친근한 대상들이 피사체가 돼주었다.
사진이란 뭐랄까, 사물이 꿈이 되고 꿈이 사물이 되는 순간, 존재도 아니고 비존재도 아닌, 그 사이에서 깜박깜박 점멸하는 순간의 기록 같은 것이다. 그해 겨울, 케임브리지에 첫눈이 내리던 밤이었다. 우리는 나름 감격에 젖어 외출을 감행했는데 때마침 집 앞에 누군가가 버린 구식 TV가 놓여 있었다. 외출에서 돌아왔을 때 TV 위에는 어느새 하얗게 눈이 쌓여 있었다. 순백의 눈은 마치 수의(壽衣) 같았다. 그것은 TV가 수명을 다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표식인 동시에 어떤 초연하고도 아늑한 분위기로 TV를 감싸고 있었다. 세상의 모든 전파와 단절됐지만 우연이라는 시간의 비밀스러운 채널을 타고 전송되는 TV의 사후(死後)의 영상은 참으로 신비하고 따뜻하게 느껴졌다. 카메라를 꺼내 TV를 향해 조심스레 셔터를 눌렀다.
나는 사진 찍기와 논문쓰기를 번갈아가며 그해 겨울을 케임브리지에서 보냈다. 사진은 나를 치유해 줬고 논문은 나를 살게 해줬다. 그리고 봄이 채 시작되기 전에 나는 뉴욕으로 돌아왔다. 두 달가량의 집중적인 노동은 성과가 있었다. 논문쓰기는 그 시기 동안 탄력을 받았고 1년후 나는 무사히 졸업할 수 있었다.
뉴욕으로 돌아올 즈음 어느 날 밤 우리는 집 앞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그때 쓰레기봉투에 고개를 처박고 게걸스럽게 뭔가를 훔쳐먹고 있는 녀석을 보았다. 등줄기에는 흰 선이 뚜렷했다. “오, 스컹크!” 과연 스컹크였다. 후배는 적잖이 흥분한 나를 보고 씩 웃으며 말했다. '어, 정말, 그러네요.' 스컹크는 예상치 않은 소란에 당황한 듯 총총히 자리를 떴다. 나는 괜한 장난기로 녀석을 쫓아갔다. 내가 가까워지면 녀석은 멈춰 서서 꼬리를 세웠다. 나는 흠칫 뒤로 물러났다. 그 악명 높은 방귀 세레를 받고 싶진 않았으니까 말이다. 그러면 녀석은 다시 달아나고, 나는 다시 쫓아가고, 꼬리를 세우고, 뒤로 물러나고, 이러기를 몇 차례, 결국 녀석은 제 갈길을 가고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
그날 밤 잠자리에서 나는 생각했다. 만약 스컹크를 계속 쫓아갔다면 앨리스나 도로시처럼 이상한 나라를 방문하게 됐을까? 거기서 나는 그녀와 다시 만나 백년가약을 맺고 행복한 여생을 보낼 수 있을까? 거기선 내가 스컹크만큼 지독한 방귀를 뽕뽕 뀌어대도 그녀가 나를 보며 환한 미소를 지을 수 있을까? 그날 밤 나는 꿈을 꾸지 않았다. 아니 실은 어떤 꿈을 꾸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행복한 꿈이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심보선 /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중에서
'Lov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라는 권력 (0) | 2020.10.23 |
---|---|
수모루 할아버지 (0) | 2019.11.11 |
여포와 초선, 잘못된 만남 (0) | 2019.08.08 |
매디슨카운티의 다리 (0) | 2018.09.26 |
날 기다릴 수 있겠니? (0) | 201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