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 장군과 두개의 동상
마닐라 항구를 떠난 선박은 풍선 주머니 모양의 마닐라만 입구를 향해 남쪽으로 속력을 내기 시작했다. 인구 8,000만 명의 대국 필리핀, 그 중심지이면서 2,000만 명이 모여 살고 오늘의 역사를 이어 오는 곳. 하지만 마닐라는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가난과 부패의 구름 속에 가려져 있는 느낌이다. 아시아의 최선진국에서 50년 만에 최빈국으로 전락한 이유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멀어지는 뱃길에서 돌아보는 항구의 빌딩들이 초라해보였다. 2시간 만에 도착한 코레히도르섬은 올챙이 모양으로 길게 누워 좁은 마닐라만 수로의 파수문 같았다. 열대 우림 속으로 찌프니 (소형지프를 개조해 만든 필리민의 대중버스)를 타고 들어가니 1890년 미국·스페인 전쟁 때 구축된 대포와 방어진지의 잔해들이 나타난다. 쓰러진 시멘트 구조물 속으로 철근은 녹슬고 잡초는 우거져 무용한 세월을 벗하고 있었다. 곧이어 터진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에 뺏고 뺏기는 섬의 운명을 예견했을까. 군 병참기지, 탄약고 등이 흐르는 앞바다의 해류를 바라보면서 소리 없이 스러져가고 있다. 1마일이 넘는 군인들의 막사 건물은 폐허로 변했다. 일리노이 병기창에서 제작된 육중한 해안포의 포신만이 아직도 위용을 잃지 않고 있다.
1942년 맥아더 장군은 이곳에서 일본군의 집중공습을 받고 병력을 모두 잃은 채 새벽 시간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한 채 소형보트로 도망쳤다. 치욕적인 패배를 가슴에 안고 “나는 반드시 돌아온다. shall return "라고 하며 야반도주한 셈이다. 그는 마닐라를 포기하고 호주 근해까지 밀려 내려갔다. 절치부심하던 미군은 다시 전열을 정비해 인도네시아부터 서서히 북상했고 일본군을 차례로 제압해 나갔다. 괌을 비롯한 남양군도를 손에 넣은 여세를 몰아 말레이반도에서 승기를 잡고 드디어 맥아더의 한이 서린 마닐라만 전투의 포성을 쏘아 올렸다.
맥아더는 휘하의 최정예부대 제6군 7함대를 앞세우며 코레히도르 섬으로 진격했다. 천혜의 요새여서 3년 전 일본군을 괴롭혔는데 탈환하는 미군이 몇 배 애를 먹고 사상자도 많이 냈다. 일진일퇴의 공방전 끝에 그는 드디어 이 섬의 승전을 발판으로 마닐라만을 확보하고 필리핀을 손에 넣는다. 세계 전쟁사에 콘스탄티노플 공격, 로마 전투와 역사를 바꾼 대격전에 기록될 정도로 코레히도르 전투는 치열했다. 결국 1945년, 원폭투하로 인해 침략자 일본의 불장난은 비참하게 막을 내렸다. 맥아더는 승리자가 되어 일왕의 항복문서를 받아냈다. 필리핀과 한국이 해방되는 순간이었다. 필리핀 사람들은 그런 맥아더를 독립의 영웅으로 기리고 있다. 태평양전쟁의 승리와 맥아더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 때문이다. 종전후 필리핀 정부는 폐허가 된 코레히도르 섬을 단장하고 폭격으로 부서진 군 시설들을 그대로 보존해 이곳을 전쟁기념관으로 만들었다. 필리핀 사람들은 물론 전 세계에서 수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다녀간다. 1997년 한국의 국방장관을 비롯해 술츠 미 국무장관,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베트남의 공산당 서기장 등이 다녀갔다는 기록이 전시돼 있다. 맥아더가 도주했던 조그만 선착장에는 전쟁영웅으로 다시 돌아온 그의 동상을 세워 업적을 기리고 있다. 멀리 마닐라만을 향한 그의 시선이 아직도 살아있는 듯하다. 갖은 만행으로 부정한 전쟁을 벌인 일본군 (Japanes monkey라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을 몰아내고 필리핀의 독립을 가져다준 장본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코레히도르 섬을 돌아보고 떠나는 이 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동상 앞에서 가슴 깊은 경의를 표한다. 그리고 몇 년 후 한국전쟁이 터졌다. 맥아더는 다시 유엔군 사령관으로 참전했고 엄청난 희생 끝에 인천상륙작전으로 한국을 구한다. 중공군을 격퇴하기 위해 만주일대까지 진격해서 원폭을 투하해 이 기회에 공산주의자들을 쓸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확전을 경계하던 트루먼의 소환으로 눈물의 전역을 하고 만다. 맥아더는 결국 일본과 북한으로부터 한국을 두 번이나 구출한 셈이다. 맥아더는 1951년 4월 9일 미 의회 고별연설에서 "나는 결코 전쟁광이 아니다. 그러나 전쟁에서 승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없다"라는 발언을 했다. 일생을 군인으로 살면서 깨달은 사실이자, 승리를 생각하지 않으면 결국 패배한다는 의미, 패배의 결과가 어떤 것임을 알아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미국과 스페인 전쟁의 영웅 아버지 맥아더의 아들로 태어나 미 육사를 수석졸업하고 최연소 4성, 5성 장군으로 전역과 복귀를 반복하면서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을 승리로 이끈 주역, 클린턴 대통령이 그의 고향 아칸소 리틀록 출신 가운데 가장 존경했던 인물 맥아더는 한국을 그리워하면서 1964년 워싱턴 DC에서 84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현재 인천자유공원에는 맥아더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힘들었을 때 그의 용기와 희생이 녹아든 연합군의 노고를 잊지 않기 위함이리라. 그런데 종전 70여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이 땅의 젊은이들은 맥아더를 깎아내리고 한반도를 두 동강 낸 장본인이라며 동상에 밧줄을 걸기까지 했다. 고마움을 표시해도 모자랄 판에 이렇게 은혜를 내던지는 철부지 행동을 어떻게 봐야 할까. 도널드 럼스펠드 전 미국방장관의 회고록 <알려진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Known and Unknown>을 통해 "미군의 한국전쟁 참전으로 자유와 경제적 성공을 일군 한국이 지금은 ‘역사적 기억상실증’에 빠져있음을 느낀다. 한국의 젊은이들은 자신들이 북한 수용소에 갇혀 있지 않은 건, 1950년 많은 미국 청년들이 한국전쟁을 위해 싸웠기 때문이라는 걸 상기할 필요가 있다”라고 술회했다. 필리핀의 ‘잊히지 않는 맥아더’와 한국의 ‘잊으려고 노력하는 맥아더’, 그 두 개의 동상이 지금 현실 속에 서 있다.
김경한 / ‘인문 여행자, 도시를 걷다’중에서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수저 영웅, 도요토미 히데요시 (0) | 2021.11.12 |
---|---|
하멜 14년, 애덤스 20년 (0) | 2021.11.10 |
칼의 기억, 히젠토 (0) | 2021.11.08 |
간도에는 지금도 죽은 자들이 살고 있다 (0) | 2021.09.06 |
아편전쟁에서 국공내전까지 / 중국 근대사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