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전습록(傳習錄)

송담(松潭) 2017. 8. 29. 13:41

 

 

전습록(傳習錄) / 왕양

 

 

 

 

 

사진출처 : 철학으로 그리는 세상

 

 

 주자와는 또 다른, 아니 주자를 넘어서서 성인에 이르는 길을 밝힌 철학자가 하나 있다. 이름하여 왕양명, 그 전에 잠깐 드라마 이야기를 하나 하고 넘어가자. KBS 드라마 <정도전>(2014)에 대한 것이다."모든 백성이 군자가 되는 나라" 극 초반부에 정도전이 토해낸 대사다. 바닥까지 추락한 정도전은 동북면의 덕장 이성계를 찾아간다.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자는 정도전의 말에 이성계는 분노한다. 정도전의 말은 반역을 하자는 것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그때 정도전이 말한다. 함께 손을 잡고 민본정치를 구현하자고. 사전(私田)을 혁파하여 모든 백성이 자기 땅에서 농사를 짓게 하자는 것이다. 이른바 계민수전’(計民授田)이 그것이다. 충분히 예상할 만한 내용이다. 내가 주목한 건 그 다음 대사였다. 그리하여 모든 백성이 군자가 되어 사는 나라를 만들어 보잔다. ‘군자의 나라?’ 순간 귀가 번쩍! 했다. 군자란 무엇인가? 자기 땅과 노동의 주인이 되는 것만으론 부족하다. 잘 먹고 잘 사는 것만이 삶의 비전일 순 없다. 궁극적으로 모두가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야 할 터. 삶의 주인이 되려면 경제적 자립뿐 아니라 무엇보다 윤리적 자율성을 체득해야 한다. 윤리란 외부로부터 오는 억압과 구속에 맞서 싸우는 힘이자 동시에 마음이 충동에 휩쓸리지 않도록 조율하는 내적 에너지라 할 수 있다. 모든 백성이 이런 존재가 되는 것. 이것이 정도전이 꿈꾸는 이상국가였다. 그것은 단지 토지개혁과 왕조교체만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경지는 아니다. 제도와 시스템이 견고해지면 관료주의와 무력감이 판치게 되고, 물산이 풍부해지면 사치와 방탕에 빠져드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무력하거나 중독되거나!

 

 군자가 된다는 건 이 양극단을 모두 떨치고 생명의 자율성을 고도로 발휘한다는 뜻이리라. 이때 정도전이 염두에 둔 비전은 공자의 유학, 그중에서도 주자의 성리학이었다. 그런데 이 대사를 듣는 순간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역설적으로 주자가 아니라 그 주자를 넘어서고자 한 양명이었다.

 

 주자는 분명 훌륭한 스승이다. 그 역시 모든 백성이 군자가 되고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여말선초에 유입된 성리학은 그런 역동적 비전의 산물이었다. 하지만 앞서 밝혔듯이, 주자 사후 주자학은 주자의 염원과는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국가학이 되어 주류에 편입되면서 오히려 모든 이상과 실험을 억압하는 도그마가 되고 말았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처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양명이 등장한 지점도 바로 거기다 국가장치를 등에 업고 거대 담론이 되어 버린 주자학에 맞서려면 생명과 우주, 거기에서 다시 시작해야한다.

 

 왕양명(1472 ~ 1528, 본명은 수인)은 명나라 중기를 살아간 장군이다. 그냥 평범한 무장이 아니라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전략가이자 수차례 큰 반란을 진압한 명장이다. 헌데 놀랍게도 그는 사상가다. 그냥 평범한 사상가가 아니라 중국철학사의 흐름을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 뒤바꾼 거인이다. 세계사에는 양명보다 뛰어난 철학자도 있고 또 양명 못지않은 명장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명처럼 장군이면서 동시에 현자인 경우는 실로 드물다. 말하자면, 그는 칼을 찬 학자’, '붓을 든 장군'이었던 것. 그 이름에 걸맞게, 전쟁터를 누빌 때는 다만 적을 물리칠 뿐 아니라 백성들이 살아갈 길을 열어 주었고, 다시 향리로 돌아오면 강학을 열어 사방에서 몰려온 제자들과 본체와 천리를 탐구했다. 전장(戰場)과 강학원, 양극단에 위치한 두 현장을 무심하게 넘나드는 이 유연한 도움닫기! 그 생생한 기록이 바로전습록이다.논어주자어류가 그렇듯이, 이 책 또한 스승 양명이 제자들과 주고받은 대화록이다.

 

 양명의 이력 탓일까. 전습록은 철학적 고전임에도 박진감이 넘친다. 주자학이 체계적이고 방대한 커리큘럼을 종횡한다면, 양명학은 단도직입에 쾌도난마다. 철학적 출발점도 간결하기 그지없다.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이치다. ‘심외무물’(心外無物) -마음 밖에 사물이 없다. 주자학의 박학다식에 맞서 존재와 세계의 간극 없는 일치를 설파한 것이다.

 

 이런 사상을 터득하는 데 어찌 고난이 없었으랴. 환관 유근의 전횡을 상소했다가 장 40대를 맞고 귀주에 있는 용장으로 좌천된 적이 있었다. 암살의 위험에 시달리며 간신히 도착한 용장은 이민족들이 웅거하던 오지 중의 오지였다. 말도 통하지 않을뿐더러 풍토병의 위협으로 생사를 넘나드는 고투를 감내해야 했다. 그야말로 벼랑 끝에 선 것이다. 하지만 그 백척간두에서 양명은 마침내 천리를 온몸으로 터득한다. 이름하여 용장의 대오(大悟)’! 이제 그에게는 사물() - () - 마음() - ()이 하나로 융합되었다. 누구든 이 이치를 터득하면 군자를 넘어 성인이 될 수 있다. ‘거리에 가득 찬 이들이 다 성인(聖人)이다!’

 

 그럼에도 왜 사람들은 군자도 성인도 되지 못하는가? 인욕(人慾)에 의해 가로막혔기 때문이다. 인욕이란 무엇인가? 아주 간단하다. ‘여색을 밝히는 것, 재물과 명예를 탐하는 것’, 이 욕망으로부터 벗어나면 누구든 천리를 보존할 수 있다. 천리를 보존하는 것이 곧 도다. "도는 곧 본성이고 또한 운명이다"(문성환 풀어읽음, 낭송 전습록, 북드라망) 이것을 외면하게 되면, “지식이 넓어질수록 사사로운 욕심은 더욱 커지고, 재능과 역량이 많을수록 천리는 더욱 가려진다마치 우리 시대를 겨냥한 듯한 언표다.

 

 실천적 윤리도 명쾌하기 그지없다 지행합일치양지(致良知)’, 앎과 행은 하나라는 것, '천지조화의 정령'이자 마음의 본체인 양지에 도달하라는 것. 양명이 보기에 주자학의 가장 큰 병폐는 앎과 행의 분리에 있었다. 아는 것 따로 행하는 것 따로, 그 분열과 간극이 곧 욕망의 배양처다. 여색에 빠지고 부귀공명에 중독되는! 그러므로 욕망이 싹트는 지점을 아는 것이 생명의 근원이고, 그 즉시 그것을 없애는 것이 생명을 세우는 공부다.’

 

 아, 이제야 알겠다. 내가 왜 군자의 나라라는 대사를 듣는 순간 양명이 떠올랐는지를, 최근 몇 년 사이 유난히 사회지도층의 성범죄가 줄을 잇고 있다. 정계, 법조계, 학계까지 내용도 참 기괴하고 다채롭다. 처음엔 분개했지만 문득 궁금해졌다. 그렇게 많은 공부를 하고도, 또 그렇게 높은 곳에 오르고도 왜 성욕이 컨트롤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보니 지극히 당연했다. 우리 시대의 앎이란 욕망의 절제라는 윤리적 수행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지 않은가. 오히려 성공은 아주 종종 욕망의 무한증식과 혼동되기도 한다. 공적 비리가 늘 치정 사건과 얽혀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따라서 진정으로 리더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욕망을 다스리는 수련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도 성공의 정점에서 추락하고마는 희비극은 끊임없이 반복될 것이다.

 

 감시와 처벌은 결코 해법이 아니다. 윤리란 철저히 자율성에 근거한다. 외압에 의한 것은 아무리 견고하다한들 노예의 도덕에 불과하다. 하여, 제도와 시스템이 강화될수록 불안감과 무력감은 증폭될 겻이고, 또 그에 비례하여 욕망에 대한 탐닉도 더한층 교묘해질 것이다. 결국은 악순환이다. ‘군자의 나라가 되려면 군자가 되는 길이 열려야 한다.

 

 무엇보다 교육적 전제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교육이야말로 윤리의 척도를 가늠하고 훈련하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심즉리'치양지같은 양명의 테제가 절실한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지금처럼 앎과 삶, 욕망과 윤리가 분리되는 공부법으로는 결국 재물과 성욕 앞에서 휘청거리는 소인배들을 양산할 수밖에 없을 테니까.

 

 생의 마지막 국면에서 양명은 이렇게 말한다. "평범한 사람이 될 수 있어야 비로소 사람들에게 학문을 강의할 수 있다." 성인이란 비범한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한 것이다. 자신을 태산처럼 떠받들려는 제자들에게 말한다. “태산은 평지만 못하다. 평지에 무슨 눈에 띌 만한 것이 있겠는가.” 거기에 붙은 해설은 이렇다. “이날 선생님의 마지막 한마디는 사람들이 평생을 지녀온, 겉으로 우뚝 두드러지고 싶어하는 병을 단번에 잘라내고 깨뜨렸다.”(문성환, 앞의 책) 스스로의 권위를 무너뜨림으로써 학문의 본체를 증명해 보인 것이다. 그래서인지 양명학은 스승보다 제자들이 더 유명하다. 특히 명말청초를 주름잡은 양명죄파가 그들이다. 18세기 조선의 르네상스를 주도한 연암그룹에도 이들의 영향이 짙게 배어 있다.

 

 그럼에도 양명에 대한 우상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자는 거대한 체계를 세움으로써 결국은 도그마로 가는 운명을 피할 수 없었다면, 양명은 스스로 광야가 됨으로써 후학들로 하여금 그 위를 마음껏 질주하게 하였다. 모두가 군자가 되고 만백성이 성인이 되는 길을 연 셈이다. 과연 태산은 광야만 못하다!

 

고미숙 / ‘고전과 인생 봄여름가을겨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