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마
역사적 달마는 1500여년 전의 인물이다. 그러나 달마는 살아 있다. 달마는 다르마(법·진리)다. 달마와 그의 법제자들의 다르마가 시공을 넘어서 우리를 깨우지 못한다면 그것은 선(禪)이 아니라 구두선(口頭禪·실속 없는 말)일 뿐이다.
그들의 법음이 사구(死句)일 뿐 지금 여기에서 활구(活句)로 생생하게 살아나지 못한다면 1500년 전 중국의 일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인도에서 건너온 달마(?~495, ?~436, 346~495, ?~528 등으로 생몰연대를 두고 이설 존재)에 의해 중국에서 선불교가 시작됐기에 달마는 선종의 초(일)조로 불린다.
달마에 이어 2조 혜가(487~593)-3조 승찬(?~606)-4조 도신(580~651)-5조 홍인(594~674)에 이어 6조 혜능(638~713) 때까지만 붓다로부터 이어온 가사와 발우가 전해졌다고 한다. 혜능 이후 만개된 선불교의 초석을 이들 6대 조사가 놓은 셈이다.
‘견성(깨달음)=성불’로 여기는 선불교에서 선의 조사(祖師)들은 붓다와 같은 참사람의 전형으로 존경받는다. 그러나 원래 이들은 큰 아픔과 상처를 지녔던 장애인들이었다.
남인도에서 온 달마는 중국인들로선 마주하기조차 쉽지 않을 만큼 얼굴이 검은 털복숭이 괴승이었다.
혜가는 출가 전에 불안의 노이로제 속에 살았고,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팔은 베어버린 외팔이였다.
승찬은 천형을 받았다는 죄의식 속에 고통 받던 나환자였다.
도신의 출가 배경은 알려진 것이 없지만 불과 일곱살에 절에 맡겨져 삼조사까지 이른 것에서 천애고아였거나 그와 유사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신의 늙은 제자가 다시 몸을 받기 위해 성적인 접촉 없이 ‘입태’해 태어났다는 얘기가 전해지는
홍인은 이를테면 아버지 성조차 모르는 미혼모의 자식이었다.
혜능은 당시 당나라에서 가장 천대받던 소수민족 어머니를 두어 몸이 아주 작고, 검고 못생겨 오랑캐란 소리를 들었다.
천년이 넘도록 진주처럼 찬란히 빛나는 선사들은 이처럼 상처 속에서 피어났다. 그 점이 아픔과 상처와 갈등으로 고통 받는 이들이 늘어만 가는 오늘날 선사들의 삶과 깨달음이 더욱 절실히 다가서는 이유다.
조연현 기자 (2007.3.13 한겨레)
소림사 뒷쪽 숭산 정상에서 고통받는 세상 사람을 굽어보고 있는 달마의 상.
'교양· 상식.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기보유 (0) | 2007.04.20 |
---|---|
거짓말은 (0) | 2007.04.03 |
페르소나(Persona) (0) | 2007.01.25 |
낭만주의(Romanticism) (0) | 2007.01.11 |
리비도(Libido) (0) | 200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