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詩, 글

남대문 폐허를 곡함

송담(松潭) 2008. 2. 12. 10:45
 

 

남대문 폐허를 곡함




머리 풀고 울어에야 하리


옷 찢어 던지며 분해야 하리


오호 통재


이 하루아침 남대문 폐허를


어찌 내 몸서리쳐 울부짖지 않으랴


돌아보라


6백년 연월 내내 한결이었다


이 도성 남녀노소들 우마들


이 나라


이 겨레붙이 모진 삶과 함께였다


혹은 청운의 꿈 안고 설레어 여기 이르면


어서 오게 어서 오시게


두 팔 벌려 맞이해 온 가슴인


나의 남대문이었다


혹은 산전수전의 나날 떠돌이 하다


여기 이르면


어디 갔다 이제 오느뇨


활짝 연 가슴 밑창으로 안아줄


너의 남대문이었다


단 하루도 마다하지 않고


단 하룻밤도 거르지 않고 지켜서서


숙연히


감연히


의연히


나라의 기품이던


저 조선 5백년


저 한민족 1백년의 얼굴이었다


온 세계 누구라도 다 오는 문 없는 문


온 세계 그 누구라도 다 아는


만방 개항의 문


정녕 코리아나의 숨결


서울 사람의 눈빛 아니었던가


이 무슨 청천벽력의 재앙이냐


이 무슨 역적의 악행이냐


왜란에도 호란에도


어제런듯 그 동란에도


끄떡없다가


이 무슨 허망의 잿더미냐


여기 폐허 땅바닥에 엎드려 곡하노니


여기서 주저앉지 말고 멈추지 말고


떨쳐 일어나


다시 바람 찬 천년의 남대문 일으켜낼지어다


여봐란듯이


저봐란듯이


만년의 내일 내 조국의 긍지 우뚝 세워낼지어다



고 은 / 시인

(2008.2.12 조선일보)


 

 

 

 

역사 속 숭례문



숭례문이란 이름은 조선의 설계자 정도전(鄭道傳)이 지었다.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따서 동대문은 흥인문(興仁門),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이라고 지은 것이다. '태조실록' 5년 9월조는 '속칭 남대문'이라고 적어 남대문이 일제의 비칭(卑稱)이 아님을 말해준다. 세종 29년(1447)과 성종 10년(1479)에 중수했는데, 중종 31년(1536)에는 문신 김안로(金安老)의 건의로 종을 달아 백성들에게 시각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이 종은 곧 울리지 않게 되었다. 폐사(廢寺)에 방치되었던 종을 가져다 달았는데, 종소리가 동남쪽의 지맥(地脈)을 제압해 국가 운수에 불리하다는 주장 때문이었다. 이 종은 명종 18년(1563)에 사라진다. 독실한 불교신자인 문정왕후의 분부로 내수사(內需司)로 보내졌다가 어느 사찰에 전해진 뒤로는 행방을 알 수 없다.


숭례문은 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북문인 숙청문(肅淸門)이 음방(陰方)으로 여자의 방위라면 남문인 숭례문은 양방(陽方)으로 남자의 방위였고, 8괘로 숙청문은 '감(坎)'괘로서 물을 뜻하고 숭례문은 '리(離)' 괘로서 불을 뜻했다. 양방의 숭례문은 늘 개방한 반면 음방의 숙청문은 가뭄 때만 열었다. 실록에서 "날이 가물어 숭례문을 닫고 숙청문을 열었다"는 기록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 화기(火氣)를 누르기 위해 문 남쪽에 만든 연못이 남지(南池), 또는 연지(蓮池)였다. 숙종 32년(1706)에는 연못의 물빛이 푸르다가 붉게 변하면서 끓는 물처럼 뜨거워져 고기가 죽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다른 대문의 편액이 모두 가로로 썼지만 숭례문만 세로로 쓴 것도 불이 타오르는 형상을 나타낸 것인데, 사신을 맞는 장소이므로 서서 맞는 것이 예법에 맞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명작으로 유명한 숭례문 편액을 쓴 이는 아직 논란거리다. 오세창(吳世昌)은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서 유진동(柳辰仝:1497~1561)의 글씨라고 말했지만 아닌 것으로 판명 났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이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글씨라고 전하고 있는데, 양녕대군의 사당인 지덕사(至德祠)에는 '崇禮門(숭례문)' 탁본이 남아 있다 한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기이한 이야기가 전한다. 임진왜란 때 편액을 잃어버렸는데 남지에서 밤마다 빛이 나 파보니 숭례문 액판이 묻혀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편액은 조선 전기 명필인 정난종(鄭蘭宗:1433∼1489)의 글씨라고 말하고 있다. 어느 것이 사실인지 알 수 없으나 정난종의 글씨라면 3년 전 화재 때 녹아버린 낙산사의 종명(鐘銘)도 그의 글씨이니 우리 시대와는 악연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도 건재했던 숭례문이 우리 시대에 타버린 것은 선조들은 물론 후손들에게도 얼굴을 들 수 없는 수치 중의 수치이다. 번드르르한 외양만 추구할 뿐 기본에는 허술한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다시 보여준 것이다. 세종 15년(1433)에 숭례문 밖에 군포(軍鋪)를 지어 순라군들을 상주시켰다. 복원하는 숭례문에는 연못도 만들고 군포도 지어 사람이라도 상주시켜야겠다. 현판이라도 건진 것이 불행 중 다행이다.


이덕일 / 역사평론가

(2008.2.12 조선일보)


 

 


펜화 작가 김영택씨가 그린‘숭례문’(2007년작). 김씨는 구한말 사진과 현장 답사를 바탕으로 서울에 전차와 전봇대가 들어서기 직전인 1900년의 남대문을 정밀하게 재현했다. /김영택씨 제공

 

 

 

아! 숭례문




어떻게 이럴 수가 있을까?

간밤 짧은 한 밤 사이에

숭례문이 재가 되어버렸다니

그 멋있던 모습이

우아하고 부드럽게 앉아 있던 그 숭례문이

어떻게 이렇게 시커먼 뼈다귀만 남기고

폭삭

주저앉아 버릴 수가 있을까

마뜩해하지 않는 이들이 애꿎게도 없지 않지만

600년 비바람을 버티며 우릴 지켜주고 있는

우리나라 대문 우리 보물인데

불씨가 연기 만들고 불덩이가 넘쳐 다 쏟아져버린

그 긴 긴 5시간 동안

어쩌면 우리들은 이렇게 헛짓으로

맥없이 바라만보고 있어야 했을까


아름답던 살과 옷을 다 날려 보내고

그 멋있던 모습을 다 잃어버리고

불구덩이 속에서 몸부림치던

니들 도대체 뭣들 하고 있냐고 악을 악을 쓰다가

무너져 버리고 고꾸라져 버리고

마침내

꺼멓게 삭아버린 흉한 모습으로

치를 떨고 있는 숭례문을

찬바람에 떨고 있는 저 숭례문을

누가

감히

누가 감히

바라볼 수 있을까


비싸게 배운다 우리는

비싼 값을 치러야만 배운다 우리는

목숨을 치러야 배우고 망가지고 사라져버려야 배우더니

끝내

숭례문까지 태워먹었다

이젠 뭘 배울까

다 타버린 숭례문 앞에서

우린 정녕 뭘 더 배워야 하는가


저 숭례문과 함께 꺼멓게 삭아버린

내 얼굴 내 이름 내 마음

이 수모를 어찌할꼬

이 챙피를 어찌할꼬

이 부끄러운 모습을 도무지 어떻게 해야 할꼬


강대갑 /대전 유성구 노은동

 (2008.2.12 한겨레)

 

 

 

 

 

'아름다운 詩,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적인 밥 / 함민복  (0) 2008.02.20
그릇 1 / 오세영  (0) 2008.02.15
귀천 / 천상병  (0) 2008.01.28
별들은 따뜻하다 / 정호승  (0) 2008.01.22
별이 아름다운 까닭  (0) 2007.09.14